[백준 알고리즘] 1764번: 듣보잡 (파이썬 / Python)

2022. 8. 9. 05:34·알고리즘/백준
문제

김진영이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과,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이 주어질 때, 듣도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 

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, 보도 못한 사람의 수 M이 주어진다. 이어서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듣도 못한 사람의 이름과, N+2째 줄부터 보도 못한 사람의 이름이 순서대로 주어진다. 이름은 띄어쓰기 없이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지며, 그 길이는 20 이하이다. N, M은 500,000 이하의 자연수이다.

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에는 중복되는 이름이 없으며,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도 마찬가지이다.

출력

듣보잡의 수와 그 명단을 사전순으로 출력한다.

예제 입력
3 4
ohhenrie
charlie
baesangwook
obama
baesangwook
ohhenrie
clinton
예제 출력
2
baesangwook
ohhenrie

문제 접근

들어보지 못한 사람, 보지 못한 사람의 명단이 각각 주어지는데, 두 명단에 모두 속해있는 사람의 수와 그 이름을 사전순으로 출력하면 된다.

정답 코드
#1764번: 듣보잡

import sys
n, m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n_set = set()
m_set = set()
nm_list = []

for i in range(n+m):
    check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
    if i < n:
        n_set.add(check)
    else:
        m_set.add(check)
    nm_list.append(check)

count = 0
print_list = []
for i in sorted(set(nm_list)):
    if i in n_set and i in m_set:
        count += 1
        print_list.append(i)

print(count)
print("\n".join(print_list))

나의 답안이다.

n_set(들어보지 못한 사람 명단)

m_set(보지 못한 사람 명단)

두 집합을 각각 생성한다. 여기서 list가 아닌 set으로 구현한 이유는, 명단에 있는지 없는지 검사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set이 적합하며 시간초과를 예방하기 위함이다.

for i in range(n+m):
    check = sys.stdin.readline().rstrip()
    if i < n:
        n_set.add(check)
    else:
        m_set.add(check)
    nm_list.append(check)

명단을 입력받는 부분이다. n+m만큼 입력받고, n보다 작을 때(즉, 들어보지 못한 사람의 명단)까지는 n_set에 추가하고,

그 이후는 m_set에 추가한다.

별도로 nm_list를 만들어 모든 이름을 다 추가한다.

count = 0
print_list = []
for i in sorted(set(nm_list)):
    if i in n_set and i in m_set:
        count += 1
        print_list.append(i)

print(count)
print("\n".join(print_list))

다음 부분이다. 출력을 위한 count 변수를 선언, for문으로 sorted(set(nm_list))를 순회하며,

n_set과 m_set에 모두 속하는지 검사하고, 있다면 카운트하고 print_list에 추가한다.

(정렬을 시키는 이유는 사전순 출력을 위함이고, 집합으로 만든 이유는 중복 출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.)

카운트를 출력하고, print_list를 join함수를 이용해 출력했다.

 

 


 

1764번: 듣보잡

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, 보도 못한 사람의 수 M이 주어진다. 이어서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듣도 못한 사람의 이름과, N+2째 줄부터 보도 못한 사람의 이름이 순서대로 주어진다.

www.acmicpc.net

 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알고리즘] 10816번: 숫자 카드 2 (파이썬 / Python)  (0) 2022.08.11
[백준 알고리즘] 1676번: 팩토리얼 0의 개수 (파이썬 / Python)  (0) 2022.08.09
[백준 알고리즘] 1620번: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(파이썬 / Python)  (0) 2022.08.09
[백준 알고리즘] 1269번: 대칭 차집합 (파이썬 / Python)  (0) 2022.08.09
[백준 알고리즘] 1010번: 다리 놓기 (파이썬 / Python)  (0) 2022.08.09
'알고리즘/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0816번: 숫자 카드 2 (파이썬 / Python)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676번: 팩토리얼 0의 개수 (파이썬 / Python)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620번: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(파이썬 / Python)
  • [백준 알고리즘] 1269번: 대칭 차집합 (파이썬 / Python)
gyujh
gyujh
개발 공부 블로그
  • gyujh
    규
    gyujh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86)
      • Backend&DB (3)
      • CS (5)
        • 컴퓨터구조 (1)
        • 소프트웨어공학 (4)
      • JavaScript (2)
      • Git (2)
      • 알고리즘 (73)
        • 개념 (3)
        • 백준 (70)
      • Projects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algorithm
    재귀
    문자열
    답
    백준
    너비우선탐색
    정렬
    알고리즘
    에러
    딕셔너리
    답안
    숏코딩
    런타임
    BOJ
    프로그래머스
    스택
    시간초과
    구현
    풀이
    정답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1
gyujh
[백준 알고리즘] 1764번: 듣보잡 (파이썬 / Python)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